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영상스토리

소장품 스토리
국립중앙과학관이 자랑하는 대표적인 소장품에 얽힌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생생하게 느껴보세요.
소장품스토리

내가 소개하고 싶은 소장품

'참종개'

참종개는 전세계에서도 오직 우리나라에서만 서식하고 있는 한국 고유종입니다.
한국인 최초로 우리 민물고기를 학계에 발표한 종으로 우리나라 학자에 의해 우리 손으로 발견하기까지의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포토(7건)

소장품스토리

내가 소개하고 싶은 소장품

'의약품, 미니(무균)·형광돼지, 먹통'

[선플라, 팩티브정, 헤파박스]
K-방역, 신약개발강국 도약을 가능하게 했던 의약품 세 가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미니(무균)·형광돼지]
인간의 질병을 극복하고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미니(무균)돼지 및 형광돼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먹통]
전통 건축공사의 기본이자 첫 번째 필수도구로, 우리 건축기술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소장품인 먹통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포토(5건)

소장품스토리

보존연구실 사람들

‘보존연구실을 소개합니다’

국립중앙과학관 과학유산보존과 보존연구실에서는 과학기술자료 조사·정리 및 보존처리를 통해 소장 과학기술자료가 올바르게 활용되어 쓰일 수 있도록 보존·관리 하는 일을 합니다.
보존연구실 연구원들의 업무를 통해 보존·관리가 왜 중요한지 들려드립니다.

포토(6건)

소장품스토리

내가 소개하고 싶은 소장품

‘미호종개’

신종을 발표할 때는 학명(Scientific name)을 명명하는데 민물고기 연구 1세대이신 고(故) 최기철 박사님의 두 제자가 스승님에게 바친 보은(報恩)이의 물고기‘미호종개’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포토(5건)

소장품스토리

내가 소개하고 싶은 소장품

‘원자(장이온) 현미경’

국내 기술로 제작되어 만들어진 국산 1호 원자(장이온) 현미경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포토(5건)

소장품스토리

내가 소개하고 싶은 소장품

‘침구경험방’

조선 최고의 침구(침, 뜸)의 허임이 지은‘침구경험방’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포토(5건)

소장품스토리

내가 소개하고 싶은 소장품

‘물소중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된 해녀의 대표 유물 ‘물소중이’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포토(7건)

소장품스토리

내가 소개하고 싶은 소장품

‘희귀조류표본’

100여 년 전 우리나라에서 채집되어 국립중앙과학관에서 보존·관리중인 초창기 조류 확증표본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포토(5건)

소장품스토리

내가 소개하고 싶은 소장품

‘통영측우대’

국립중앙과학관 소장 대표 소장품이자 보물 제1652호로 지정된 ‘통영측우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포토(6건)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과학관이(가) 창작한 ‘소장품 스토리’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LOSE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전자우편(E-Mail)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1.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 된다.
  • 2.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 된다.
  • 3.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저작권문의 닫기
저작권문의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에 따라 소장품 자료실에서 제공하는 자료는 저작물별로 적용된 이용조건에 따라 저작권 침해의 부담 없이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 가능합니다.

  • OPEN, 출처표시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단, 자유이용이 가능한 자료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라, KOGL)"을 부착하여 개방하고 있으므로 공공누리 표시가 부착된 저작물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자유럽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자유이용의 경우, 이용자께서는 반드시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야 합니다.
닫기
유관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