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3D프린팅 데이터 조회

양경규일의(兩景揆日儀)

Yang-gyeong-gyu-il-ui

분류 천문 > 천문의기 > 해시계
주제 문화/예술일반
매체 3D
출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국립중앙과학관
제작일 2015-12-08
출력방식 FDM, CJP, MJP, DLP, POLYJET
자료제공기관 국립중앙과학관
자문위원 신탁근
데이터설명 이 해시계는 영침을 대신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판의 끝 부분 그림자가 닿는 시각선을 읽어 시간을 알아낸다. 한쪽 판에는 춘분을 중심으로 동지부터 하지까지의 13개 계절선이 있고, 다른 판에는 추분을 중심으로 하지부터 동지까지 13개의 계절선이 그려져 있다. 시각과 계절선이 그려진 판의 뒷면에는 입표(入表)와 횡표(橫表)가 쓰여있는데, 그 내용을 통해 보면 이 시계는 한양북극고도 37도 39분 15도를 기준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황적대거(黃赤大距)는 23도 27분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또한 “道光乙酉流火月上澣”이 적혀 있는데, 道光乙酉년은 청나라 선종 도광제의 연호로 도광 5년(1825)이며, 流火는 7월을, 上澣은 10일을 뜻한다. 크기는 가로11.5cm, 세로18.8cm, 높이18.1cm이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과학관이(가) 창작한 ‘양경규일의(兩景揆日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연관 3D 프린팅데이터 (10건)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전자우편(E-Mail)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1.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 된다.
  • 2.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 된다.
  • 3.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저작권문의 닫기
저작권문의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에 따라 소장품 자료실에서 제공하는 자료는 저작물별로 적용된 이용조건에 따라 저작권 침해의 부담 없이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 가능합니다.

  • OPEN, 출처표시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단, 자유이용이 가능한 자료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라, KOGL)"을 부착하여 개방하고 있으므로 공공누리 표시가 부착된 저작물인지를 확인한 이후에 자유럽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자유이용의 경우, 이용자께서는 반드시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야 합니다.
닫기
유관기관